“일상돌봄 서비스”는 돌봄이 필요한 청·중장년(19~64세)과 가족을 돌보는 청년(9~39세)을 위해 기본 재가돌봄부터 가사, 병원 동행, 심리 지원 등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. 이용 대상, 신청 방법, 서비스 유형, 가격까지 한번에 정리해드립니다.
30대 초반의 한 친구는 부모님의 병간호로 직장생활과 병행이 어려웠습니다. 일상돌봄 서비스를 통해 기본적인 병원 동행과 간단한 가사돌봄을 받을 수 있었고, 친구는 그 시간에 업무를 마무리할 수 있어서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해요. “한숨 돌릴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”며 만족감을 표현했답니다.
1. 일상돌봄 서비스 대상자
1-1. 돌봄이 필요한 청·중장년
일상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19세 이상 64세 이하의 청·중장년이 주요 대상입니다. 특히 질병, 부상, 장애 등의 사유로 독립적인 생활이 어려운 경우, 가족이나 보호자가 없거나 돌봄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지원 가능합니다. 지원 조건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를 충족해야 합니다.
- ① 일상생활에 돌봄이 필요한 자
- ② 질병·부상 등으로 어려움이 있는 자 (진단서, 소견서 등 필요)
- ③ 돌봄을 수행할 가족 등이 없는 자
1-2. 가족돌봄 청년
9세 이상 39세 이하의 청년 중 가족을 돌보고 있는 청년이 대상입니다. 동거가족의 질병·부상 등으로 돌봄 필요성이 있는 경우, 또는 가족의 경제활동을 지원하고 있는 경우에도 해당합니다. 지원 조건은 아래 세 가지 모두를 충족해야 합니다.
- ① 가족을 돌보는 청년
- ② 동거 가족의 돌봄 필요성 증명
- ③ 가족 부양으로 경제활동 중임을 증명 (재직증명서 등)
2. 일상돌봄 서비스 내용
2-1. 기본 서비스 제공 항목
기본적으로 재가 돌봄과 가사 지원이 포함되며,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병원 동행, 심리 지원, 교육중진 등의 특화서비스도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.
서비스 종류 | 내용 |
---|---|
기본 서비스 | 재가 돌봄 + 가사 지원 (청소, 세탁 등) |
특화 서비스 | 병원 동행, 심리 상담, 교육 지원 등 맞춤형 선택 가능 |
2-2. 이용 방식 및 시간
기본서비스는 24시간, 36시간, 72시간 중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, 특화서비스는 최대 2개까지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용은 지자체에서 발급한 이용권(바우처)을 가지고 지정된 제공기관에서 진행됩니다.
2-3. 비용 및 가격 기준
소득수준에 따라 본인 부담금이 다르며, 다음은 예시 가격입니다.
구분 | 이용 시간 | 월 이용료 |
---|---|---|
A형 | 36시간 | 660,000원 |
B형 | 24시간 | 432,000원 |
C형 | 7시간 | 1,320,000원 |
특화서비스는 월 12만~25만원까지 서비스 종류에 따라 상이합니다.
3. 신청 방법과 절차
3-1. 신청 방법
신청은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직접 신청하거나,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. 거동이 불편한 경우에는 전화, 우편, 팩스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고, 담당 공무원이 대리 신청도 가능합니다.
3-2. 서비스 처리 절차
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처리됩니다.
단계 | 내용 |
---|---|
1단계 | 초기 상담 및 서비스 신청 (읍면동 사무소) |
2단계 | 대상자 통합조사 및 심사 |
3단계 | 대상자 확정 (시군구청) |
4단계 | 서비스 지원 (한국사회보장정보원) |
5단계 | 사후 관리 (지자체 및 사회보장정보원) |
3-3. 문의처 및 관련 정보
각 지역별 담당 부서에 문의해 상세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.
지역 | 문의처 |
---|---|
서울 | 02-2133-7346 |
경기 | 031-8008-5218 |
부산 | 051-888-3151 |
인천 | 032-440-1552 |
기타 전국 |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사업과 044-202-3226 |
자주 묻는 질문
일상돌봄 서비스는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돌봄이 필요한 19세 이상 64세 이하 청중장년과 가족을 돌보는 9~39세 청년이 대상입니다.
서비스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?
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,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.
서비스는 어떤 내용이 포함되나요?
재가 돌봄, 가사 서비스, 병원 동행, 심리상담 등 개인 맞춤형 돌봄 서비스가 제공됩니다.
서비스 비용은 얼마인가요?
기본 서비스는 월 43만~132만 원, 특화 서비스는 월 12만~25만 원 정도이며 소득에 따라 차등 부담됩니다.
바우처는 어떻게 사용하나요?
선정된 후 지자체에서 발급한 이용권(바우처)을 통해 제공기관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.
가족이 대리 신청할 수 있나요?
불편한 경우 가족, 공무원 등 대리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자의 동의가 필요합니다.
이용 시간은 조절할 수 있나요?
기본 서비스는 24, 36, 72시간 중 선택 가능하며, 특화서비스는 2개까지 조합 가능합니다.
서비스는 얼마나 자주 받을 수 있나요?
이용 시간에 따라 월 단위로 제공되며, 필요한 경우 재신청도 가능합니다.
글을 마치며
‘일상돌봄 서비스’는 단순한 돌봄이 아닌 삶의 균형을 되찾는 중요한 제도예요. 누구나 갑작스러운 질병이나 부상, 또는 돌봄의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죠. 이럴 때 제도적 지원이 있다면 마음도, 생활도 훨씬 가벼워질 수 있습니다. 특히 청년 가족돌봄자의 경우, 일과 돌봄을 병행해야 하는 이중 부담 속에서 일상돌봄 서비스가 삶의 질을 높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어요. 혼자 고민하지 마시고, 가까운 주민센터나 복지로를 통해 한 번 상담 받아보세요. 여러분이 놓친 지원이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을지도 몰라요.
다른 글 보기
청년 자기개발 도서구입비 지원, 도봉구 19세 청년을 위한 꿀정보!
도봉구 자활사업 활성화 지원, 자립을 위한 든든한 시작!